전체 글76 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과정 의미 있는 자료 S " 열이나요...“ “몸이 좀 뜨거운 것 같아요..” O 0000.00.00 C/S 시행함 poly catheter 하고 있음 OP wound 관찰됨 BT 37.5 도 측정됨 WBC가 14.2 로 높게 나타남 진단 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퇴원시 환자는 모든 lab 수치가 정상범위에 해당할 것이다. 단기목표 1일 후 대상자의 체온이 36.6℃로 낮아질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계획 대상자를 간호하기 전, 후에 손을 씻는다. 손씻기는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으로 미생물의 전파를 통제하는 감염관리의 방법이다. 1일마다 lab 을 f/u 한다 CBC 검사에서 백혈구의 증가는 급성 감염을 의미한다. 소변의 양과 색깔 등을 사정한다. 소변의 양과 색깔, 냄새.. 2024. 2. 5. 급성 골수성 백혈병 문헌고찰 ① 정의 AML(Acute myelocytic leukemia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15~39세 사이에 흔히 나타나며 성인의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65%를 차지한다. 미성숙한 과립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골수에 축적된다. 이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는 정상적인 조혈과정을 방해한다. ② 임상 증상 임상증상은 조혈장애의 정도에 따라 나타난다.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증가하고 적혈구와 혈소판이 감소한다. 1. 빈혈 - 피부의 창백함, 피로, 권태감, 호흡곤란, 빈맥, 심계항진, 활동 지속성의 감소 등이 나타남 2. 출혈 - 혈소판 수가 적을수록 출혈 경향이 증가한다. 합병증으로 파종성혈관내응고 AML 중 DIC의 가장 흔한 원인은 M3 AML이다. M3 백혈병세포에 함유되어 있는 과립에서 방출되는 .. 2024. 2. 5.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간호 과정 의미 있는 자료 S “그냥 입맛 없어” O Albumin 수치 지속적인 감소를 보임 (정상범위 : 3.5~7.2g/dL) 체중이 입원시 78.3kg 이였는데 현재 75.7kg 으로 2.6kg 감소함 식사량이 아주 적음 (음식을 많이 남김) 영양상태평가 결과 저위험군 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감소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제공되는 식사의 반 이상을 섭취할 것이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하루에 2500kcal을 섭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계획 규칙적으로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영양상태 파악 후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선호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사정한다. 적절한 영양소 선택시 중요한 지표가 됨 구강 청.. 2024. 2. 5.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간호 과정 의미 있는 자료 S “오늘도 대변을 보지 못했습니다.” “변 보기가 힘드네~” O 입원 후 4일간 대변을 보지 못함 침상에서 대부분의 활동 하는 것을 관찰함 진단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규칙적인 대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변 보는 것이 쉬워졌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계획 보호자에게 대상자 복부 마사지를 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배를 마사지 하는 것은 장을 자극 시켜 배설을 도울 수 있음 금기가 아니라면 복도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간단한 운동으로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설을 도울 수 있음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식이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섬유질이 포함된 식이는 장에서 대변의 크기를 증가시켜 연동운동을 .. 2024. 2. 5. 이전 1 2 3 4 5 ··· 19 다음